[브라우저 최적화(2)] 브라우저 리소스 로딩 최적화의 다양한 방법
·
개발/테크톡
지난 글 [브라우저 최적화(1)] CRP의 이해와 브라우저 리소스 식별 방법 CRP에서 렌더링 및 파서 차단에 대해 종류 역할을 이해하고 브라우저의 리소스를 식별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브라우저 리소스의 흐름을 파악하게 되면 비로소 브라우저 최적화를 할 수 있는 단계를 밟을 수 있게 된다.이번 글에는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에서 최적화하는 방법과 이를 의존하지 않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본다. preloadpreload는 현재 페이지에서 바로 필요로 하는 리소스를 먼저 가져오는 방법이다. 이 리소스는 CRP 이전에 요청되어 더 빨리 사용할 수 있고, 페이지의 렌더링을 막을 가능성이 낮아져 성능을 향상한다. preload는 폰트나 이미지 등 CSS 내부에서 사용하는 리소스, 크기가 큰 이미지와 비디오 파..
[브라우저 최적화(1)] CRP의 이해와 브라우저 리소스 식별 방법
·
개발/테크톡
웹 페이지는 최초 렌더링 단계나 네트워크에서 렌더링/파서 차단(redner-blocking, parser-blocking)을 어떻게 다루냐에 따라 성능에 크게 좌우가 된다. 그 중에서 CRP(Critical Rendering Path)가 어떻게 흘러가는지 이해하고, HTML 속성과 CSS 처리 옵션을 다룰 줄 알면 사용자 경험을, 개선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다.이번 글에선 브라우저 렌더링 단계에서 CRP가 무엇이고 어떤 단계에서 리소스가 차단되는지 그리고 렌더링 우선순위를 어느 위치에 잡아야 하는지 알아보고 브라우저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을 통해 브라우저 리소스 로딩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CRP(Critical Rendering Path)CRP란 브라우저가 서버로부터 HTML, CSS, Javas..